목차
1. 광복절, 두 개의 역사적 의미가 있는 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광복절을 “1945년 8월 15일,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된 날”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이 날은 단지 해방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1948년 같은 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린 날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광복절은 독립과 건국, 두 가지 역사적 의미를 동시에 지닌 특별한 날입니다.

2. 최초의 광복절 기념행사 이야기
광복 직후인 1946년 8월 15일, 서울 중앙청 앞에서 첫 번째 광복절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당시에는 아직 사회가 혼란스러운 시기였지만, 시민들은 태극기를 들고 거리로 나와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며 기쁨을 나눴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당시 행사의 사회를 본 이는 방송인이 아니라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인물들이었고, 그 때문에 기념식 자체가 하나의 역사 교육장이었다는 점입니다.
3. 태극기 게양, 이렇게 해야 맞다
광복절에는 전국적으로 태극기를 게양합니다. 하지만 올바른 게양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위쪽이 하늘색(건) 부분, 아래쪽이 빨간색(리) 부분입니다.
- 집에서는 대문 또는 창문에서 밖을 향해 게양하며, 깃대가 없다면 종이 태극기를 창문 안쪽에 붙이는 것도 좋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매년 태극기 게양 캠페인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국민들이 국기 예절을 올바르게 지킬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태극기 게양 안내
4. 해외에서 열리는 광복절 행사들
재외동포 사회에서도 광복절은 중요한 날입니다. 미국, 캐나다, 일본 등지에서는 독립운동 기념관이나 한인회관에서 기념식과 문화 행사가 열립니다.
특히 하와이에서는 하와이 한인회가 주관하는 퍼레이드가 열리는데, 이는 일제 강점기 당시 하와이가 독립운동 자금 조달의 중요한 거점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광복절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 곳곳의 한인들에게 정체성과 역사를 되새기는 날입니다.
5. 광복절 노래 속 숨겨진 메시지
광복절 기념식에서 자주 불리는 ‘광복절 노래’는 1949년 작곡된 곡으로, 가사에 자주독립과 민족의 단결이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빛을 찾은 우리나라”라는 구절은 해방의 기쁨을 표현하고, “이 나라 한몸으로”라는 부분은 새로 세워진 대한민국이 하나로 뭉쳐야 한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노래는 단순한 축하곡이 아니라, 당시 국민들에게 국가 재건과 단합을 호소하는 역할을 했던 셈입니다.

마무리
광복절은 단순히 하루의 공휴일이 아닙니다. 과거의 희생과 투쟁을 기억하고, 현재 우리가 누리는 자유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날입니다.
올해 8월 15일, 태극기를 달고 잠시 시간을 내어 이 날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건 어떨까요?
그 작은 행동이, 우리 역사를 지키는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출처
- 국가보훈부, 광복절의 의미
- 행정안전부, 태극기 게양 방법
- 해외동포재단, 재외동포 광복절 행사